본문 바로가기

최남선3

[시] 최남선 - 봄 길 봄 길 버들잎에 구는 구슬 알알이 짙은 봄빛찬비라 할지라도 임의 사랑 담아 옴을적시어 뼈에 스민다 마달 수가 잇으랴. 볼 부은 저 개구리 니 무엇에 쪽겼관대조르를 젖은 몸이 논귀에서 헐떡이나떼봄이 쳐들어와요 더위 함께 옵데다. 저 강상 작은 돌에 더북할 손 푸른 풀을다 살라 욱대길 제 그 누구가 봄을 외리줌만한 저 흙일망정 놓쳐 아니 주도다. ※ 주제는 '새봄을 맞는 기븜'이며, 구성은 3수 1편의 연수로 된 평시조이다. 이 시조의 특징은 도치법을 많이 사용한 점과, 예스런 고아한 말투를 되살려 시조로서의 운치를 한결 돋우어 준 점에 있다. 최남선(崔南善 1890 ~ 1959) 사학가, 문학가. 호는 육당(六堂). 서울 출생. 신시(新詩) 운동 초창기인 7908년에 잡지 '소년'을 발간하였고, 그 뒤 춘.. 2016. 9. 23.
[시] 최남선 - 3.1절 3.1절 천지에 봄이 드니 3.1절이 또 한번을지난해 이날 뒤에 가각 한 일 돌아보고부끄럼 능히 없을 이 몇이 된다 하는고. 만세의 소리에는 사람마다 사자로되만세의 실천에는 굼벵이와 같다 하면이 백성 어떻달는지 나는 몰라 하노라. 당당히 독립정신 붓에 올려 글을 짓고열렬히 독립만세 입에 담아 외치기는우리의 할아버님네 못해 본 일이니라. ※ "3.1절을 계기로 지난 날을 반성함"이 주제이며 구성수는 3수 1편의 평시조이다. 이 시조의 특징은 1수에서는 도치법을 사용했고 2수와 3수에서는 대구법(對句法)을 썼다. 사회적인 사실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는 일종의 계몽주의에 입각한 애국적인 작품이다. 최남선(崔南善 1890 ~ 1959) 사학가, 문학가. 호는 육당(六堂). 서울 출생. 신시(新詩) 운동 초창기인 .. 2016. 9. 23.
[시] 최남선 - 해에게서 소년에게 해에게서 소년에게 1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따린다, 부순다, 무너 바린다.태산 같은 높은 뫼, 집채 같은 바윗돌이나.요것이 무어야, 오게 무어야.나의 큰 힘 아나냐, 모르나냐, 호통까지 하면서따린다, 부순다, 무너 바린다.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꽉. 2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내게는 아모 것도 두려움 없어,육상에서, 아모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라도,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아모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지 못하네.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는,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꽉. 3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나에게 절하지 아니한 자가,지금까지.. 2016.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