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사등(瓦斯燈)
차단―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려 있다.
내 홀로 어디 가라는 슬픈 신호(信號)냐.
긴―여름 해 황망히 날개를 접고
늘어선 고층 창백한 묘석같이 황혼에 젖어
찬란한 야경(夜景) 무성한 잡초인 양 헝크러진 채
사념(思念) 벙어리 되어 입을 다물다.
피부의 바깥에 스미는 어둠
낯설은 거리의 아우성 소리
까닭도 없이 눈물겹구나.
공허한 군중의 행렬에 섞이어
내 어디서 그리 무거운 비애를 지고 왔기에
길―게 느린 그림자 이다지 어두워
내 어디로 어떻게 가라는 슬픈 신호기
차단―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리어 있다.
※ 이 시는 1938년 6월 3일 조선일보에 발표된 작품으로, 5연으로 짜여진 자유시다. 이 시는 희망도 이상도 상실한 현대인, 특히 현대 지성의 아픈 고민이 표백된 모더니즘의 시다. 즉, 도시적인 것이 주는 절망감을 '와사등'이라고 하는 시각적 이미지로부터 시작하여 회화적 수법으로 형상화한 이 작품의 주제는 군중속의 고독이라 하겠다.
김광균(金光均 1914~1993)
실업가. 경기도 개성 출생. 송도상고 졸업. 이후 회사에 취직, 생업에 종사 하면서 시를 쓰기 시작함. 시 '야경차(夜警車; 1930)'를 투고 하여 발표한 이후 이육사, 신석초, 서정주 등과 동인지 '자오선(1937)', '시인부락(1936)' 등에 참가했음. 영국 이미지즘 시운동을 도입, 소개한 편석촌(片石村)'의 이론과 시작에 크게 공명하여 '시는 회화다' 라는 모더니즘의 시론을 실천했음. 시집 '와사등(1939)', '기항지(1947)' 등에 이어, 10여 년 만에 문단 고별 시집인 '황혼가(黃昏家; 1957)'를 간행함. 6.25 사변때 작고한 사형(舍兄)의 뒤를 이어 실업계에 투신, 문단과는 인연을 끊고 건설실업공사(建設實業公司) 사장으로 있었다.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 김광균 - 데생(뎃상) (0) | 2016.12.15 |
---|---|
[시] 김광균 - 추일 서정(秋日抒情) (0) | 2016.12.15 |
[시] 김광균 - 설야(雪夜) (0) | 2016.12.15 |
[시] 민춘지 - 산수유 (0) | 2016.12.12 |
[시] 김현승 - 플라타너스 (0) | 2016.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