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

[시] 김광균 - 추일 서정(秋日抒情)

by 소행성3B17 2016. 12. 15.
반응형

  추일 서정(秋日抒情)



  낙엽은 폴란드 망명 정부의 지폐 

  포화(砲火)에 이지러진 

  도룬 시의 가을 하늘을 생각게 한다. 

  길은 한 줄기 구겨진 넥타이처럼 풀어져 

  일광(日光)의 폭포 속으로 사라지고 

  조그만 담배 연기를 내뿜으며 

  새로 두 시의 급행열차가 들을 달린다. 

  포플라 나무의 근골(筋骨) 사이로 

  공장의 지붕은 흰 이빨을 드러낸 채 

  한 가닥 구부러진 철책(鐵柵)이 바람에 나부끼고 

  그 위에 셀로판지로 만든 구름이 하나. 

  자욱한 풀벌레 소리 발길로 차며 

  호올로 황량(荒凉)한 생각 버릴 곳 없어 

  허공에 띄우는 돌팔매 하나 

  기울어진 풍경의 장막(帳幕) 저 쪽에 

  고독한 반원(半圓)을 긋고 잠기어 간다.






  ※ 이 시의 경향은 주지적, 영상적 이미지즘이며 전연으로 구성된 회화시다. 한 폭의 그림을 보는 것처럼 시각적 이미지를 증시한 이 시의 주제는 외국 묘지의 이국적 정취라고 하겠다.




  

  김광균(金光均 1914~1993)

  실업가. 경기도 개성 출생. 송도상고 졸업. 이후 회사에 취직, 생업에 종사 하면서 시를 쓰기 시작함. 시 '야경차(夜警車; 1930)'를 투고 하여 발표한 이후 이육사, 신석초, 서정주 등과 동인지 '자오선(1937)', '시인부락(1936)' 등에 참가했음. 영국 이미지즘 시운동을 도입, 소개한 편석촌(片石村)'의 이론과 시작에 크게 공명하여 '시는 회화다' 라는 모더니즘의 시론을 실천했음. 시집 '와사등(1939)', '기항지(1947)' 등에 이어, 10여 년 만에 문단 고별 시집인 '황혼가(黃昏家; 1957)'를 간행함. 6.25 사변때 작고한 사형(舍兄)의 뒤를 이어 실업계에 투신, 문단과는 인연을 끊고 건설실업공사(建設實業公司) 사장으로 있었다.



반응형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 김광균 - 외인촌  (0) 2016.12.15
[시] 김광균 - 데생(뎃상)  (0) 2016.12.15
[시] 김광균 - 와사등(瓦斯燈)  (0) 2016.12.15
[시] 김광균 - 설야(雪夜)  (0) 2016.12.15
[시] 민춘지 - 산수유  (0) 2016.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