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806

마음의 연산법 마음의 연산법 너무나 소중하다고 해서 내 안에만 넣어두게 되면 통풍이 안되고 햇볕을 받지 못해 곰팡이가 피고 악취를 풍기게 됩니다. 좋은 것일수록 남과 나누어 공유해 보세요. 좋은 것을 남과 나누면 빼기(-)가 아니라 곱하기(*)가 됩니다. 마음의 세계에서 통하는 연산법입니다. ==출처: 명상편지== 2017. 6. 3.
나 자신에게도 좋은 사람 나 자신에게도 좋은 사람 나 자신에게도 좋은 사람이 되세요.사랑하면 그 사람하고만 시간을 보내고 싶듯오늘은 사랑하는 '나' 하고만 한번 시간을 보내 보세요. 맛있는 것도 사주고 좋은 영화도 보여주고,경치 좋은 곳으로 데려도 가 주고 해보세요. 사랑하는 사람에게 공들이듯나에게도 공들여 보세요. - 혜민 스님 '완벽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사랑' 중에서 - 사랑하는 사람을 위하듯 나 자신을 위한 시간을 써보는 건 어떨까요?바쁜 일상에 치여 꽃이 피고 지는 것조차 몰랐던 내게 작은 선물을 될 것입니다. # 오늘의 명언당신이 사랑하는 삶을 살라.당신이 사는 삶을 사랑하라.- 밥 말레이 - ==출처: 따뜻한 하루== 2017. 6. 3.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저녁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저녁 요즘 일교차로 인해 감기에 걸려 식욕마저 잃었습니다.아내는 내가 이런 줄은 아는지 모르는지 평상시처럼 대해주기에조금은 섭섭하게 생각되었습니다. 친구 약속 때문에 나가려는데, 미소를 지으며 아내가 말했습니다."현금이 없으니 만 원만 주고 가세요. 그리고 방울토마토가 먹고 싶으니 들어오실 때 방울토마토 좀 사다 줘요." 그동안 살아오면서 투정도 애교도 부릴 줄 모르던아내가 내민 거칠어진 손에 만 원짜리 한 장을 쥐여주고집을 나서며 생각에 잠겼습니다.'늙으면 애가 된다더니..' 애써 잊어보려 했지만, 가족을 위해 희생하며 살아온 아내가 만원을 달라며 내민 손이 자꾸 떠올랐습니다. 외출에서 돌아오는 길에 방울토마토 한 상자를 샀습니다.집에 도착하니 내가 좋아하는 생태찌개 냄새가 코끝에.. 2017. 6. 3.
내 안에서 찾는 열정 내 안에서 찾는 열정 열정은 밖에서 얻어지는 게 아닙니다. 자기 내부에서 샘솟습니다. 아무 열정이 없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만성적으로 아무 의욕이 없는 사람들입니다. 의욕이 없고 우울증이 걸리는 이유는 기운이 없어서 그렇습니다. 또 기운이 없는 이유는 쓸데없는 에너지 낭비를 많이 해서 그렇습니다. ==출처: 명상편지== 2017. 6. 2.
같은 일, 전혀 다른 삶 같은 일, 전혀 다른 삶 어느 날 공자가 조카 공멸을 만나 물었습니다."네가 벼슬한 뒤로 얻은 것은 무엇이며, 잃은 것은 무엇이냐?" 공멸은 표정이 어두워지더니 대답했습니다."얻은 것은 없고 잃은 것만 세 가지 있습니다.첫째, 나랏일이 많아 공부할 새가 없어 학문이 후퇴했으며둘째, 받는 녹이 너무 적어서 부모님을 제대로 봉양하지 못했습니다.셋째, 공무에 쫓기다 보니 벗들과의 관계가 멀어졌습니다." 공자는 이번엔 공멸과 같은 벼슬에서 같은 일을 하는 제자 복자천을 만나 같은 질문을 해 보았습니다. 복자천은 미소를 지으며 대답했습니다."잃은 것은 하나도 없고, 세 가지를 얻었습니다.첫째, 글로만 읽었던 것을 이제 실천하게 되어 학문이 더욱 밝게 되었고, 둘째, 받는 녹을 아껴 부모님과 친척을 도왔기에 더욱 .. 2017. 6. 2.
[시] 괴테 - 이별 이 별 입으로는 차마 말할 수 없는 이별을 내 눈으로 말하게 하여 주십시오! 견딜 수 없는 쓰라림이 넘치오! 그래도 여느 때는 사나이였던 나였건만. 상냥스러운 사랑의 표적조차 이제는 슬픔의 씨앗이 되었고 차갑기만 한 그대의 입술이여 쥐여 주는 그대의 힘 없는 손이여. 여느 때라면 살며시 훔친 입맞춤에조차 나는 그 얼마나 황홀해질 수 있었던가. 이른 봄 들판에서 꺽어 가지고 온 그 사랑스런 제비꽃을 닮았었으나. 이제부터는 그대 위해 꽃다발을 엮거나 장미꽃을 셀 수조차 없이 되었으니, 아아 지금은 정녕 봄이라는데 프란치스카여 내게만은 쓸쓸하기 그지없는 가을이라오. ※ 만능의 사람 괴테에게 있어서 가장 괴테다운 영역을 말한다면 역시 서정시이다. 시인 자신도 자기가 무엇보다도 시인이라는 사실을 자각하였다. 그리.. 2017. 6. 2.
반응형